작년에 gitHub의 정책이 변경되어 무료 플랜에서도 private repository가 무제한으로 제공됩니다. 다만 무료 플랜의 경우 private repository는 3명까지만 협업이 가능합니다.
이번에 개인적으로 사용할 android project를 만들 예정이었는데 어떤 소스 관리 툴을 사용할 지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이번에 gitHub의 plan이 변경된 것을 알게 되어 어차피 저 혼자 관리 할 소스라서 gitHub 무료 플랜으로도 충분히 소스 관리가 가능할 거 같더군요.
그래서 이번 기회에 gitHub도 사용할 겸 프로젝트의 소스 관리를 github로 시작해 보려 합니다.
우선적으로 android studio project에 git을 연동해야하므로 오늘은 연동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1. git 설치
Git
git-scm.com
우선 git을 설치 해야 합니다.
위 사이트의 downloads에 가서 자신의 pc에 맞는 버전으로 다운로드합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파일을 설치합니다.
git 설치 시 옵션이 몇가지 있지만 그 부분은 차후 살펴 보고 default로 설치합니다.
2. gitHub repository 만들기
Build software better, together
GitHub is where people build software. More than 40 million people use GitHub to discover, fork, and contribute to over 100 million projects.
github.com
gitHub에 repository를 만들려면 우선 gitHub에 계정이 있어야 합니다. 계정은 이메일만 있으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무료 플랜으로도 private repository 생성이 가능하므로 무료 플랜을 선택합니다.
git 계정을 만들고 나면 repository를 생성합니다.
repository 이름을 넣고 생성할 repository에 맞는 설정들을 한 다음 Create repository를 선택하면 repository가 생성되고 생성된 repository로 이동합니다.
아직은 아무런 소스가 없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3. android studio에 git 설정
android 설정을 엽니다.
왼쪽에서 Version control > Git을 선택합니다.
Path to Git Excutable에 1번에서 설치한 git의 실행파일을 설정합니다.
(default로 설치 했다면 C:\Program Files\Git\bin\git.exe 에 설치 파일이 있을 겁니다.)
그런다음 오른쪽의 Test 버튼을 눌렀을 때 아래와 같은 팝업이 나온다면 정상적으로 설정된 겁니다.
하단의 apply 버튼을 눌러 android studio에 적용합니다.
4. android studio에 github 계정 연결
android 설정에서 Version control > GitHub 를 선택합니다.
오른쪽의 + 버튼을 눌러 gitHub 계정을 추가합니다.
정상적으로 추가되면 계정이 표시 될 겁니다.
하단의 OK 버튼을 누르고 설정을 종료합니다.
5. project에 version control tool로 git 설정
먼저 사용중인 project에 git을 사용을 설정해야 합니다.
android studio 상단 메뉴에서 vcs > Enable version control integration을 선택합니다.
팝업에서 Git을 선택한 다음 ok를 누릅니다.
그러면 vcs 메뉴에 git 관련 메뉴들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6. 원격 저장소 설정
VCS > git > remotes를 선택합니다.
2번 github에서 만든 repository 주소를 추가합니다.
7. repository에 작업 소스 올리기
VCS > commit을 선택합니다.
전체 파일을 선택하고 commit message를 작성한 다음 commit을 선택합니다.
여기까지 하면 local 저장소에까지만 변경된 소스가 반영된 것입니다.
github는 원격 저장소이므로 원격 저장소로 로컬 저장소의 소스를 반영해야 합니다.
VCS > git > push를 선택합니다.
참고로 여기서 master는 local 저장소 orgin은 원격저장소입니다.
여기까지 하면 소스가 github에 반영됩니다.
github의 2번에서 생성한 repository에 가보면 아래와 같이 소스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정규식 (regular expression) (0) | 2020.01.10 |
---|---|
Android 개발을 시작하려면 (0) | 2020.01.05 |
댓글 영역